관리하는 음원이 많아 지면서 필연적으로 접하게 되는 일이 태그 관리입니다. 곡이 많지 않으면 아티스트(가수)별로 분류하기도 하고, 장르별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어떻게 하더라도 나중에 태그 기준으로 정렬을 다시하면 원하는 대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처음에 기준을 명확히 세우지 않으면 나중에 일이 좀 귀찮아집니다.
앨범 아티스트
푸바를 사용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앨범 단위로 폴더를 만들어서 음원을 관리하게 됩니다. 처음 CD를 리핑하면 보통 freedb에서 타이틀(%title%)과 아티스트(%artist%), 그리고 앨범명(%album%)을 찾아줍니다. 보통 아티스트와 앨범 아티스트가 일치합니다. 그래서 앨범 아티스트를 특별히 지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명의 아티스트가 아닌 여러명의 아티스트로 구성된 편집앨범(Compilation Album)의 경우 앨범아티스트(%album artist%) 태그를 채워줄 필요가 있습니다. 코딩하기 나름이겠지만 푸바에서는 앨범명과 앨범 아티스트 태그가 같으면 하나의 앨범으로 간주합니다.
푸바에서 사용하는 Title Formatting(TF)에서는 아티스트를 %artist%로 나타냅니다. 그리고 artist, album
artist, composer(작곡가), performer(연주자) 순으로 아티스트를 찾습니다. %album artist%는 artist와
album artist의 순서가 바뀝니다. 편집앨범의 경우 보통 "Various Artist" 또는 "VA"로 적습니다만, 나중에 앨범아티스트
별로 정렬해 보면 VA로 된 앨범이 너무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 경우 "Disney", "가요모음" 또는 대표 아티스트명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 2장 이상으로 구성된 앨범의 경우 %album%과 %album artist%는 똑같이 하고 "Disk
Number"(%discnumber%)와 "Total Dics"(%totaldiscs%)로 구분합니다. 그러면 ELP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참고로 이것은 Euros 스킨에서 차용한 것입니다.)
클래식 앨범의 경우 편집앨범이 많습니다. 이렇 경우에는 공통된 사항, 즉, 작곡가, 지휘자, 또는 연주자로 album artist를
정합니다.
장르 대해서는 저는 대부분 무시합니다만,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는 지 궁금하군요.
또 %subsong% 태그 처리가 귀찮을 것 같아, CUE sheet는 아예 사용하지 않습니다.
별점과 통계 데이터
푸바에서는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있는 태그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 db를 두어 파일 메타와는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보통
비표준 태그에 대해서 그렇게 하는데, 파일을 건드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마음에 듭니다. 대표적인 것이 별점(%rating%)과 플레이 통계데이터인
play counter(%play_counter%) 입니다. 통계 데이터와는 다르게 별점은 다른 플레이어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로 포함시킨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별점을 사용하시는 분은 db로 할지, 메타데이터로 할 지를 처음부터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명확히 인지만 한다면
혼용해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또한 내부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파일 메타데이터로 옮기거나, export해서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지만, 시험해 보진 않았습니다.
별점과 비슷한 것으로 Lastfm의 love도 있습니다. love 별점의 5단계 구분과는 다르게 그냥 on/off 입니다.
Foobar-Hazel에서는 모두 표시해 줍니다. 모두 표시하면 좀 지저분해 질 수도 있겠습니다.
ABBA 앨범에 대한 ELPlaylist 화면 입니다. super Trouper의 경우 좀 현란합니다. 맨앞의 06은 트랙번호, 그 다음
13은 play counter, 타이틀 뒤의 super script 29는 Lastfm의 play count, 빨간 하트는 Lastfm의
love, 노란색별은 db 별점, 그 뒤의 노란색 5는 별점 5라는 의미, 그 밑은 민트색 민트색 4는 메타데이터의 별점4라는 의미입니다.
Mamma Mia의 민트색 별은 메타데이터의 별점을 표시합니다. (이 look & feel도 Euros의 ELP를 모방한
것입니다.)
Lastfm 사용하지 않는 분은 그냥 내버려 두셔도 관계 없습니다. 깔끔하게 없애고 싶으면, ELP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
Settings... > Field definition의 LastFM.mode를 0으로 만드시면 Lastfm 관련해서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바로 적용이 안되더군요.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해야 합니다. 아마도 cache의 영향 때문인 것 같습니다.
별점 설정/표시는 가운데 컬럼의 중간 부분에 있습니다. 이 부분은 DartOne 4의 코드를 조금 수정해서 사용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