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바를 사용해서 음원을 정리하기 시작하는 것은 보통 소유하고 있는 곡이 수백곡이 넘어 가면서부터 인 것 같습니다. 천곡이 넘어가면 태그 관리없이는 힘들어집니다. 푸바를 사용하면 앨범단위로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보통 장르별로 관리하는 경우도 많은데, 곡의 수가 많이지면 어려워집니다. 저는 가요,팝,경음악,클래식,기타로 대분류하고 각각의 대분류된 폴더 밑에 아티스트(가수) 별로 폴더를 만듭니다. 아티스트 폴더는 다시 앨범(한장의 CD) 별로 폴더를 갖습니다. 맨 하위의 앨범 폴더에는 트랙별로 하나씩 파일이 만들어지고, 이 앨범 폴더를 대표하는 Folder.jpg와 Folder_120.jpg의 이름으로 앨범커버 파일(커버아트)을 포함시킵니다.
Folder.jpg 외에도 Foler_120.jpg를 또다시 만드는 이유는 프로그램의 부하를 줄여주기 위함입니다. 물론 프로그램에서 캐쉬로 어느 정도 보완해 주지만, 한 페이지에 표시해야 할 이미지 파일이 많고, 그 이미지의 사이즈가 크면 버벅대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Folder.jpg는 가능한 큰 사이즈의 파일로, Folder_120.jpg는 120x120 이하의 작은 사이즈로 만듭니다. 이용자에 따라서는 folder 대신에 cover, front등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하나의 이름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Foobar2000-Hazel에서는 앨범커버의 표시는 96x96으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120x120 의 사이즈 보다는 96x96이 최적이지만 약간의 여분을 둔 것입니다. (가운데 컬럼의 Cover 부분은 Foler.jpg를 최우선순위로 사용합니다.)
Folder.jpg 외에도 Back.*, Disc.*, Artist.*를 포함하기도 합니다.
아래는 푸바 File/Preferences의 화면입니다.
여기서 ELP, ESP등의 playlist에서 커버아트로 사용될 이미지 파일의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좌측 컬럼의 앨범(Graphic Browser component)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GB에서는 프로그램 코드로 우선순위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위 Front Coder의 경우를 보면 folder_120.jpg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folder_120.jpg가 없으면 folder.jpg, 이것도 없으면 front.jpg 순으로 내려가고, 맨 마지막까지 갑니다.(외부 이미지 뿐 만 아니라, 파일내부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커버아트도 찾습니다. 외부 커버아트와 내부 커버아트의 우선순위도 정할 수 있습니다.) %로 되어 있는 것은 meta 데이터를 뜻합니다. 맨 마지막 라인은 좀 복잡합니다. 이는 각자의 환경에 맞게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J:\Music\Lastfm\Album_image\$replace($replace($replace($puts(pos,$strchr(%artist%,'('))$trim($ifgreater($get(pos),1,$substr(%artist%,1,$sub($get(pos),1)),%artist%)),:,_),'/',),'"','')-$replace($replace($replace($puts(pos,$strchr(%album%,'('))$trim($ifgreater($get(pos),1,$substr(%album%,1,$sub($get(pos),1)),%album%)),:,_),'/',),'"','').*
좀 길고, 암호 같습니다. 한 개의 라인입니다. Title Format(TF)로 명명된 푸바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메뉴의 Help에 보면 설명서가 있습니다. 스킨작성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푸바를 계속 사용하시다 보면 자주 보게 됩니다.
맨처음의 "J:\Music\Lastfm\Album_image" 부분을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게 바꿔 주시면 됩니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Last.fm으로부터 자동으로 다운로드된 앨범 아트 이미지가 저장되는 폴더를 나타냅니다.
Front Cover외에도 Artist에서도 이와 비슷한 라인이 포함되어 있는데 같은 방식으로 수정해 주셔야 합니다. 뭐... 그냥 두거나, 지워버려도 별 지장은 없습니다. 커버아트를 찾을 유력한 찬스 하나가 줄어들 뿐 입니다.
참고로 간단히 내용을 설명하면 태그명 %artist%에서 '(' ,로 시작되는 부분부터 끝까지 지우고, 파일이름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자인 : , / , " 를 바꿔주고, 앞뒤 스페이스를 지우라는 뜻입니다. %album%에 대해서도 같은 식으로 합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가 "Francis Lai (프란시스 레이)", 앨범 타이틀이 "Love Story (러브 스토리)"로 되어 있으면,
"J:\Music\Lastfm\Album_image\Francis Lai-Love Story.*" 에서 앨범 이미지를 찾으라는 뜻이 됩니다.
이것은 Biography(전기) 컴포넌트가 서버로부터 앨범과 아티스트 데이터를 찾아 와서, 위에 위에 표시한 폴더에 위에 표시된 파일명으로 파일을 만들어 줘야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메뉴의 File/Preferences에서 Tools > Biography Sever 부분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artist%와 %album%에서 '("부분을 제외하고 서버에서 쿼리하라는 의미입니다. 물론 똑똑하고 친절한 서버는 ()부분을 제외하고, 지능적으로 앨범과 아티스트 정보를 찾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영국의 Last.fm은 그리 친절한 것 같진 않습니다.
다행히 여기서는 수정할 것이 없습니다.
Tools > Biography Sever > Last.fm에는 수정할 것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내 컴퓨터에 저장할 폴더 위치와 파일명을 지정해 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Metadata와 Image 부분을 수정해 줘야 합니다.
위에서와 같이 "J:\Music\Lastfm\Album_image" 부분을 위에서와 똑같이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Album의 수정도 Artist와 마찮가지입니다.
Wikipedia 부분도 수정해 주어야 할 것 같은데, 대부분 Last.fm에서 잘 찾아오길래 내버려 두었습니다.
가사서버 부분의 수정도 하면 좋습니다.
Tools > Lyric Show 3 에서도 Artist 와 Title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좀 더 나은 가사찾기가 가능합니다.
Artist: [$puts(pos,$strchr(%artist%,'('))$trim($ifgreater($get(pos),1,$substr(%artist%,1,$sub($get(pos),1)),%artist%))]
Title: [$puts(pos,$strchr(%title%,'('))$trim($ifgreater($get(pos),1,$substr(%title%,1,$sub($get(pos),1)),%title%))]
이것 역시 '(' 부분을 제거하고 쿼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서버로 부터 찾은 가사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합니다.
Filename format 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Custom directory는 원하는 폴더명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Filename format:
[$replace($replace($replace($puts(pos,$strchr(%artist%,'('))$trim($ifgreater($get(pos),1,$substr(%artist%,1,$sub($get(pos),1)),%artist%)),:,_),'/',),'"','') - ][$replace($replace($replace($puts(pos,$strchr(%title%,'('))$trim($ifgreater($get(pos),1,$substr(%title%,1,$sub($get(pos),1)),%title%)),:,_),'/',),'"','')]
앞으로 앨범커버와 가사 서버가 점차 좋아지면 위와 같이 수정을 할 필요가 없어 질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또하나 수정할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다음편에 작성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